기타 3

네트워크로 살펴보는 ELB

개요회사에서 새로운 서비스 인프라를 세팅할 기회가 생기면서 ELB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웹 서버를 private subnet에 배치하여 보안적 이점을 취하고자 할 때, 웹 서버를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도록 ELB를 퍼블릭 서브넷에 배치하고, 프라이빗 서브넷의 웹 서버와 연결했습니다.ELB를 연동하는 과정에서 저에게 2가지 선택지가 주어졌습니다.NLBALB제가 이미 알고 있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NLB는 L4랑 연관 있는 애고, ALB는 L7이랑 연관 있는 애잖아!NLB는 port 번호로, ALB는 http/https로 이러쿵저러쿵하는 애라던데?드문드문 주워들은 정보들은 NLB와 ALB 중 무엇을 선택할 지 고민만 길어지게 만들었습니다.이 경험을 통해 NLB와 ALB가 작동하는 방식의 차이점을 알아..

기타 2024.11.10

[글또 x 코드트리] 코드트리 대만족 한 달 사용 후기

코드트리와 첫 만남 학교에서 알고리즘 수업을 들은 것은 19년도였습니다. 무려 5년 전입니다.. 흠흠.. (어째서..) 작년 하반기부터 알고리즘의 중요성을 깨닫고 조금씩 풀고 있었습니다. 주로 백준과 Leetcode를 활용했습니다. 코딩테스트 경험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제가 경험한 코딩테스트는 Leetcode 문제와 느낌이 다소 달랐습니다. 그래서 병행하게 된 백준, 백준은 문제를 무작위로 골라서 풀다 보니 제가 아는 개념과 모르는 개념을 분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렇다면 코딩테스트 관련 서적을 사서 봤으면 되지 않았을까..? 라기엔 저는 너무나 게을렀답니다.. 그러던 와중에 글또를 통해 코드트리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글또에 참여하기를 잘했다고 느낀 여러 순간 중 하나였던 것 같습니..

기타 2024.03.02

Udemy -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수강 후기

계기 많은 회사에서 스프링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모든 개발자들이 아는 사실입니다. 저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커뮤니티를 가진 스프링을 한 번 접해보고 싶은 마음을 항상 가지고 있었어요. 그러던 찰나에 유데미에서 글또를 통해 강의를 지원해 주셨어요. 강의 이름은 바로..!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스프링을 맛보는 것이 목표였던 저에게 아주 적합한 강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start.spring.io 사이트를 통해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저는 웹사이트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처음 사용해 보았어요. 대체로 cli나 ide를 사용했거든요..! (Flutter - flutter create app_name, React -..

기타 2024.01.07